리버티게임:오락실/2024년 5월: 두 판 사이의 차이

리버티게임, 모두가 만들어가는 자유로운 게임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자세한 내용은 [https://godotengine.org/article/progress-report-web-export-in-4-3/ 이 링크]를 살펴봐주세요. 이 변경으로 애플 기기에서 웹 버전의 문제가 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사용자:명진|명진]] ([[사용자토론:명진|토론]]) 2024년 5월 16일 (목) 12:20 (KST)
자세한 내용은 [https://godotengine.org/article/progress-report-web-export-in-4-3/ 이 링크]를 살펴봐주세요. 이 변경으로 애플 기기에서 웹 버전의 문제가 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사용자:명진|명진]] ([[사용자토론:명진|토론]]) 2024년 5월 16일 (목) 12:20 (KST)
: 아, 또 SharedArrayBuffer 문제였군요. 인텔의 멜트다운 보안 취약점 때문에 저 JS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까다로워지면서 생긴 문제가 한둘이 아니었는데, 고도 엔진도 그 영향을 제대로 받았었네요. 고도 4는 원래 계획은 내년 중에 리버티게임에서 래퍼 틀을 지원할 예정이었는데, 여유가 되면 4.3이 안정화된 시점(4.4 출시 직전)에 '틀:고도4'를 추가하도록 시점을 올 연말 쯤으로 당길 수도 있겠습니다(해당 기사를 보니 엔진에서 효과음 재생을 담당할 SamplePlayer 클래스에 큰 문제가 없어야 도입할 만 하겠네요). --{{사용자:Senouis/서명}} 2024년 5월 16일 (목) 19:25 (KST)
: 아, 또 SharedArrayBuffer 문제였군요. 인텔의 멜트다운 보안 취약점 때문에 저 JS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까다로워지면서 생긴 문제가 한둘이 아니었는데, 고도 엔진도 그 영향을 제대로 받았었네요. 고도 4는 원래 계획은 내년 중에 리버티게임에서 래퍼 틀을 지원할 예정이었는데, 여유가 되면 4.3이 안정화된 시점(4.4 출시 직전)에 '틀:고도4'를 추가하도록 시점을 올 연말 쯤으로 당길 수도 있겠습니다(해당 기사를 보니 엔진에서 효과음 재생을 담당할 SamplePlayer 클래스에 큰 문제가 없어야 도입할 만 하겠네요). --{{사용자:Senouis/서명}} 2024년 5월 16일 (목) 19:25 (KST)
== CC BY-SA 파일을 제거하는 일이 꽤 고되군요. ==
<!-- 만일 '틀:오락실 보존'이 달려있지 않은 문서라면 꼭 {{풀기:오락실 보존}}을 글에 삽입해주세요! -->
지난 [[리버티게임:토론란/위키백과산 문서 대체|위키백과에서 가져온 틀 퇴출 작업]]의 연장선에 있는 문제로, 백괴사전과 백괴게임 초기 시기에 만들어진 문서 중 일부는 인용한 그림 파일의 라이선스에 문제가 있었으며, 이것 때문에 일부 게임 내용도 급히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숫자 42를 써야 할 때 대체품으로 들어가던 [[:파일:Answer to Life.png]]가 문제네요. 이 그림이 워낙 많은 곳에서 쓰였는데, 저작권 정보를 자세히 조사해보니 리버티게임의 게임 기본 라이선스랑 호환이 안 됩니다. 게임을 GFDL이나 CC BY-SA로 바꾸기엔 특집 게임들보다 그 수가 훨씬 많아서(2012년 이전에 만들어졌던 백괴게임 내 웹 게임은 거의 다 걸립니다), 다음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대량 편집으로 [[:파일:42 Logo.svg|이 파일]] 같이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파일로 바꾼다.
# 그림을 직접 만들어 동일한 이름의 파일로 업로드한다.
첫 번째 방법은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딱 맞는 그림을 찾기 어려우며, 보존 이름공간에 들어간 백괴시티 같은 게임마저 걸리는 문제이기 때문에, 비슷한 해상도<ref>원본은 322 x 196이며, 필요하면 320 x 180으로 변경합니다.</ref>에 '빛나는 숫자 42'라는 컨셉으로 새로 디자인하는 두 번째 방법이 권장됩니다.
여담으로, 이걸 보니 백괴사전과 백괴게임은 2012년 이전에는 파일 라이선스 문제에 대해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게 여겼던 것 같습니다. 지금 백괴사전과 이곳 양쪽을 오가면서 틈틈이 해결하고 있는데, 사이트에 직접 올린 수백 개의 파일 이외에 공용 파일의 저작권 정보를 잘못 보고 끌어온 사례가 넘치기에, 하루에 하나씩 찾아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도 여전히 몇 년은 걸릴 것 같네요. 만약 그림 파일 관련 문제를 발견한 분은 ([[리버티게임:저작권]] 문서에 나온 것처럼) 정비가 필요한 부분이므로 발견 시 제보를 주시기 바랍니다.
덤으로, 이런 문제를 사이트 내에서 직접 해결하기 위해 오픈 소스 그림판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WASM으로 컴파일해서 리버티게임 사이트에 직접 그림 에디터를 집어넣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봤던 후보는 Emscripten 컴파일이 가능한 SDL 기반의 [https://gitlab.com/GrafX2/grafX2 이 프로젝트]인데, UI가 상당히 구식인데다 한글화가 필요해서 더 나은 애플리케이션을 웹 앱으로 변환할 수 있다면 그쪽으로 이동하겠습니다. --{{사용자:Senouis/서명}} 2024년 5월 18일 (토) 13:12 (KST)

2024년 5월 18일 (토) 13:13 판

Korean.culture-PC.bang-01.jpg
리버티게임 오락실
 2024년 5월
새 글 쓰기
새로 고침

전체 보존문서 목록

이제 libertygame.work가 libertyga.me입니다.

2024년 4월 26일부터 운영되는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libertygame.work)는 이제 libertyga.me이 되며, libertygame.work는 별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좋은 URL을 제공해주신 BANIP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드리며, 이제 4월 25일 이전처럼 libertyga.me으로 접속하셔도 되고, libertygame.work로 계속 접속하셔도 됩니다. 개발 서버는 dev.libertygame.work 하나로 계속 유지됩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3일 (금) 22:17 (KST)

고도 4.3에서 웹 내보내기가 단일 스레드를 지원하도록 한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링크를 살펴봐주세요. 이 변경으로 애플 기기에서 웹 버전의 문제가 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명진 (토론) 2024년 5월 16일 (목) 12:20 (KST)

아, 또 SharedArrayBuffer 문제였군요. 인텔의 멜트다운 보안 취약점 때문에 저 JS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까다로워지면서 생긴 문제가 한둘이 아니었는데, 고도 엔진도 그 영향을 제대로 받았었네요. 고도 4는 원래 계획은 내년 중에 리버티게임에서 래퍼 틀을 지원할 예정이었는데, 여유가 되면 4.3이 안정화된 시점(4.4 출시 직전)에 '틀:고도4'를 추가하도록 시점을 올 연말 쯤으로 당길 수도 있겠습니다(해당 기사를 보니 엔진에서 효과음 재생을 담당할 SamplePlayer 클래스에 큰 문제가 없어야 도입할 만 하겠네요).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16일 (목) 19:25 (KST)

CC BY-SA 파일을 제거하는 일이 꽤 고되군요.

지난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틀 퇴출 작업의 연장선에 있는 문제로, 백괴사전과 백괴게임 초기 시기에 만들어진 문서 중 일부는 인용한 그림 파일의 라이선스에 문제가 있었으며, 이것 때문에 일부 게임 내용도 급히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숫자 42를 써야 할 때 대체품으로 들어가던 파일:Answer to Life.png가 문제네요. 이 그림이 워낙 많은 곳에서 쓰였는데, 저작권 정보를 자세히 조사해보니 리버티게임의 게임 기본 라이선스랑 호환이 안 됩니다. 게임을 GFDL이나 CC BY-SA로 바꾸기엔 특집 게임들보다 그 수가 훨씬 많아서(2012년 이전에 만들어졌던 백괴게임 내 웹 게임은 거의 다 걸립니다), 다음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1. 대량 편집으로 이 파일 같이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파일로 바꾼다.
  2. 그림을 직접 만들어 동일한 이름의 파일로 업로드한다.

첫 번째 방법은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딱 맞는 그림을 찾기 어려우며, 보존 이름공간에 들어간 백괴시티 같은 게임마저 걸리는 문제이기 때문에, 비슷한 해상도[1]에 '빛나는 숫자 42'라는 컨셉으로 새로 디자인하는 두 번째 방법이 권장됩니다.

여담으로, 이걸 보니 백괴사전과 백괴게임은 2012년 이전에는 파일 라이선스 문제에 대해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게 여겼던 것 같습니다. 지금 백괴사전과 이곳 양쪽을 오가면서 틈틈이 해결하고 있는데, 사이트에 직접 올린 수백 개의 파일 이외에 공용 파일의 저작권 정보를 잘못 보고 끌어온 사례가 넘치기에, 하루에 하나씩 찾아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도 여전히 몇 년은 걸릴 것 같네요. 만약 그림 파일 관련 문제를 발견한 분은 (리버티게임:저작권 문서에 나온 것처럼) 정비가 필요한 부분이므로 발견 시 제보를 주시기 바랍니다.

덤으로, 이런 문제를 사이트 내에서 직접 해결하기 위해 오픈 소스 그림판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WASM으로 컴파일해서 리버티게임 사이트에 직접 그림 에디터를 집어넣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봤던 후보는 Emscripten 컴파일이 가능한 SDL 기반의 이 프로젝트인데, UI가 상당히 구식인데다 한글화가 필요해서 더 나은 애플리케이션을 웹 앱으로 변환할 수 있다면 그쪽으로 이동하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18일 (토) 13:12 (KST)

  1. 원본은 322 x 196이며, 필요하면 320 x 180으로 변경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