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티게임:청사진: 두 판 사이의 차이

리버티게임, 모두가 만들어가는 자유로운 게임
imported>Senouis
(→‎Phase 3: 문단명 변경)
imported>Senouis
잔글 (기한 열 추가)
15번째 줄: 15번째 줄:
|+ 2023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3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 2023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3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
|-
! 프로젝트 !! 상세 내용 !! 완수 여부
! 프로젝트 !! 상세 내용 !! 수행 기간 !! 완수 여부
|-
|-
| '''게임 목록 시스템 개선''' || 기존 게임 목록 문서의 낮은 가독성 및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각 게임의 메인 문서에<br>JSON 포맷의 하위 문서를 붙인 후게임 목록 문서에서는 리버티게임 분류를 가진 일반 네임스페이스의 문서들 중<br>JSON 파일이 하위에 있는 문서만 표시하며 '''게임 태그(권장 플레이 연령, 완성도 등)는 하위 JSON 문서에서 가져옴''' || -
| '''게임 목록 시스템 개선''' || 기존 게임 목록 문서의 낮은 가독성 및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각 게임의 메인 문서에<br>JSON 포맷의 하위 문서를 붙인 후게임 목록 문서에서는 리버티게임 분류를 가진 일반 네임스페이스의 문서들 중<br>JSON 파일이 하위에 있는 문서만 표시하며 '''게임 태그(권장 플레이 연령, 완성도 등)는 하위 JSON 문서에서 가져옴''' || - || -
|-
|-
| '''백괴클래식 게임<br>탐색 계획''' || 2019년 8월 이전에 존속했던 구 백괴게임의 유산 게임을 보존하고 일부 데이터 및 게임 로직이 깨진 게임을<br>탐색하여 보수함으로써 리버티게임 창설 후 제작된 고유 컨텐츠와 분리하여 즐길 수 있도록<br>새로운 발전소 문서에서 조치하기 || -
| '''백괴클래식 게임<br>탐색 계획''' || 2019년 8월 이전에 존속했던 구 백괴게임의 유산 게임을 보존하고 일부 데이터 및 게임 로직이 깨진 게임을<br>탐색하여 보수함으로써 리버티게임 창설 후 제작된 고유 컨텐츠와 분리하여 즐길 수 있도록<br>새로운 발전소 문서에서 조치하기 || -  || -
|-
|-
| '''인기 게임 순위 시스템''' || 현 특집 게임 선정 제도는 선정 과정 및 광고 제작 절차가 까다롭고 사용자 수가 적은 리버티게임의 규모상 의견 취합이 어려우므로<br>기존의 게임 문서 내 평가 문단 데이터를 분석하여 점수를 매겨 상위권 게임을 대문에 자동으로 노출하는 시스템을 제작 || -
| '''인기 게임 순위 시스템''' || 현 특집 게임 선정 제도는 선정 과정 및 광고 제작 절차가 까다롭고 사용자 수가 적은 리버티게임의 규모상 의견 취합이 어려우므로<br>기존의 게임 문서 내 평가 문단 데이터를 분석하여 점수를 매겨 상위권 게임을 대문에 자동으로 노출하는 시스템을 제작 || -  || -
|-
|-
| '''미디어위키 기능을<br>응용하는 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br>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br>- '''핵심 엔진 기능'''(엔티티, 스프라이트 및 모델 조작, 게임 모드 로직, P2P 통신 관련 코드) 구현 || -
| '''미디어위키 기능을<br>응용하는 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br>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br>- '''핵심 엔진 기능'''(엔티티, 스프라이트 및 모델 조작, 게임 모드 로직, P2P 통신 관련 코드) 구현 || -  || -
|}
|}


30번째 줄: 30번째 줄:
|+ 2024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4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 2024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4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
|-
! 프로젝트 !! 상세 내용 !! 완수 여부
! 프로젝트 !! 상세 내용 !! 수행 기간 !! 완수 여부
|-
|-
| '''미디어위키 기능을 응용하는<br>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br>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br>- '''Documentation, WYSIWIG 에디터 구현''' || -
| '''미디어위키 기능을 응용하는<br>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br>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br>- '''Documentation, WYSIWIG 에디터 구현''' || -  || -
|-
|-
| '''새로운 문서 UI 및 게임 틀 도입''' || 벡터 2022 도입 등 미디어위키 엔진 사이트의 디자인이 바뀌어 감에 따라 기존의 대문 등<br>중요 문서 디자인을 한번 더 일신할 필요가 생겼으며, 각 게임 대문이 되는 메인 문서의 <br>'''디자인 가이드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 -
| '''새로운 문서 UI 및 게임 틀 도입''' || 벡터 2022 도입 등 미디어위키 엔진 사이트의 디자인이 바뀌어 감에 따라 기존의 대문 등<br>중요 문서 디자인을 한번 더 일신할 필요가 생겼으며, 각 게임 대문이 되는 메인 문서의 <br>'''디자인 가이드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 -  || -
|-
|-
| 미정 || 미정 || -
| 미정 || 미정 || -
43번째 줄: 43번째 줄:
|+ 2025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5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 2025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5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
|-
! 프로젝트 !! 상세 내용 !! 완수 여부
! 프로젝트 !! 상세 내용 !! 수행 기간 !! 완수 여부
|-
|-
| '''미디어위키 기능을 응용하는<br>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br>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br>- '''디버깅 도구, 데디케이티드 서버 레퍼런스 코드 구현''' || -
| '''미디어위키 기능을 응용하는<br>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br>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br>- '''디버깅 도구, 데디케이티드 서버 레퍼런스 코드 구현''' || -  || -
|-
|-
| '''기부 시스템 마련''' || 사이트의 홍보 및 창작자 지원을 위한 사이트 모금 체계 구성 및<br>Troubleshooting 지원(패트레온, 킥스타터 등 외부 모금/클라우드펀딩 사이트 활용 가능) || -
| '''기부 시스템 마련''' || 사이트의 홍보 및 창작자 지원을 위한 사이트 모금 체계 구성 및<br>Troubleshooting 지원(패트레온, 킥스타터 등 외부 모금/클라우드펀딩 사이트 활용 가능) || -  || -
|-
|-
| 미정 || 미정 || -
| 미정 || 미정 || -
|}
|}

2023년 2월 26일 (일) 23:50 판

Ideology Icon.png이 문서는 리버티게임의 정책이나 지침 등으로 제안된 상태입니다.
제안 내용은 더욱 추가·보충·수정될 수 있으며, 제안된 내용은 토론란에서 공식적인 채택을 위한 총의를 모으는 과정 중에 있습니다. 이 문서를 참조하거나 링크할 때에는 정책이나 지침이라고 기술하지 않아야 합니다.
리버티게임의 정책과 지침
대원칙
가이드라인
절차
사용자

리버티게임의 모든 정책과 지침 보기

청사진이란?

청사진(Blueprint)는 제품이나 건물의 설계도를 복사한 종이를 가리키는 말로, 청사진을 제공한다는 말은 종종 서비스의 제공 계획 및 미래의 운영 방향을 제시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리버티게임에서는 옛 백괴게임의 유산을 정리하고 보존하는 한편, 리버티게임만의 독창적인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종 정기 일정 및 개발 계획을 명시함으로써 사이트의 정체성과 발전 방향을 이용자들에게 안내하고 이를 완수하기 위하여 노력하고자 다음과 같은 운영 계획을 청사진으로 제공합니다.

리버티게임의 청사진은 일반적으로 1년 단위로 개정되며 매년 몇 가지 핵심 프로젝트를 단일한 주제로 묶어 하나의 단계(Phase)를 구성합니다. 각 단계가 끝나는 연말(보통 12월)에 사항별로 이 문서의 토론 문서에서 완수 여부와 피드백 취합, 그리고 그에 따른 다음 단계 이행 계획 구성을 진행합니다. 사이트 발전 방향의 안정성을 위해 현 시점에서 적어도 다음 3개년 계획이 수립되어 있어야 합니다.

과반의 항목 달성시 해당 단계는 수행 성공으로 간주하며 기한 내 완수 못한 계획은 다음 단계 계획에서 간소화하는 식으로 일부 수정하여 논의 후 어느 단계에 추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계의 수행 실패가 있을 경우 해당 단계에서 지나치게 무리한 수준의 계획들을 입안했다는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단계 전체를 간소화 후 재개하며 이후의 모든 단계 계획의 대대적인 변경을 진행합니다.

이 문서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었거나 앞으로 진행될 계획들을 명시합니다. 연말 피드백 기간에 관리자는 각 항목과 세부 설명 옆에는 {{완료}}나 {{거부|(실패 사유)}} 및 보충 계획을 적어 해당 계획이 제대로 완료되었는지 표시하여야 합니다.

1단계(Phase 1) - 2023년 2월~2023년 12월

2023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3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프로젝트 상세 내용 수행 기간 완수 여부
게임 목록 시스템 개선 기존 게임 목록 문서의 낮은 가독성 및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각 게임의 메인 문서에
JSON 포맷의 하위 문서를 붙인 후게임 목록 문서에서는 리버티게임 분류를 가진 일반 네임스페이스의 문서들 중
JSON 파일이 하위에 있는 문서만 표시하며 게임 태그(권장 플레이 연령, 완성도 등)는 하위 JSON 문서에서 가져옴
- -
백괴클래식 게임
탐색 계획
2019년 8월 이전에 존속했던 구 백괴게임의 유산 게임을 보존하고 일부 데이터 및 게임 로직이 깨진 게임을
탐색하여 보수함으로써 리버티게임 창설 후 제작된 고유 컨텐츠와 분리하여 즐길 수 있도록
새로운 발전소 문서에서 조치하기
- -
인기 게임 순위 시스템 현 특집 게임 선정 제도는 선정 과정 및 광고 제작 절차가 까다롭고 사용자 수가 적은 리버티게임의 규모상 의견 취합이 어려우므로
기존의 게임 문서 내 평가 문단 데이터를 분석하여 점수를 매겨 상위권 게임을 대문에 자동으로 노출하는 시스템을 제작
- -
미디어위키 기능을
응용하는 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
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
- 핵심 엔진 기능(엔티티, 스프라이트 및 모델 조작, 게임 모드 로직, P2P 통신 관련 코드) 구현
- -

2단계(Phase 2) - 2024년 1월~2024년 12월

2024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4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프로젝트 상세 내용 수행 기간 완수 여부
미디어위키 기능을 응용하는
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
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
- Documentation, WYSIWIG 에디터 구현
- -
새로운 문서 UI 및 게임 틀 도입 벡터 2022 도입 등 미디어위키 엔진 사이트의 디자인이 바뀌어 감에 따라 기존의 대문 등
중요 문서 디자인을 한번 더 일신할 필요가 생겼으며, 각 게임 대문이 되는 메인 문서의
디자인 가이드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 -
미정 미정 -

3단계(Phase 3) - 2025년 1월 ~ 2025년 12월

2025년 리버티게임 핵심 프로젝트는 2025년 12월까지 진행합니다
프로젝트 상세 내용 수행 기간 완수 여부
미디어위키 기능을 응용하는
HTML5 게임 프레임워크 제작
지나친 어드벤처 위주의 게임 제작 트렌드로 인한 컨텐츠 균형 붕괴를 해소하기 위해
캐주얼 게임 / 실시간 멀티플레이 게임 제작을 손쉽게 하는 게임 프레임워크 소도구 제작
- 디버깅 도구, 데디케이티드 서버 레퍼런스 코드 구현
- -
기부 시스템 마련 사이트의 홍보 및 창작자 지원을 위한 사이트 모금 체계 구성 및
Troubleshooting 지원(패트레온, 킥스타터 등 외부 모금/클라우드펀딩 사이트 활용 가능)
- -
미정 미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