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티게임:특수 함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리버티게임, 모두가 만들어가는 자유로운 게임
잔글 (→‎#expr)
잔글 (→‎#expr)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72번째 줄: 72번째 줄:
||<nowiki>{{#expr: 30 / 7 round 3}}</nowiki> = {{#expr: 30 / 7 round 3}}<br /><nowiki>{{#expr: 30 / 7 round 0}}</nowiki> = {{#expr: 30 / 7 round 0}}<br /><nowiki>{{#expr: 3456 round -2}}</nowiki> = {{#expr: 3456 round -2}}
||<nowiki>{{#expr: 30 / 7 round 3}}</nowiki> = {{#expr: 30 / 7 round 3}}<br /><nowiki>{{#expr: 30 / 7 round 0}}</nowiki> = {{#expr: 30 / 7 round 0}}<br /><nowiki>{{#expr: 3456 round -2}}</nowiki> = {{#expr: 3456 round -2}}
|-
|-
! trunc
! trunc(...)
|| 버림 계산을 하여 정수로 바꿔줍니다. 나눗셈의 몫을 구할 때 이 함수로 나눗셈 계산을 감싸야 합니다. (*)
|| 버림 계산을 하여 정수로 바꿔줍니다. 나눗셈의 몫을 구할 때 이 함수로 나눗셈 계산을 감싸야 합니다. 감싸는 방법은 왼쪽 표현에서 '''...''' 부분에 원하는 계산을 대신 넣으면 됩니다. (*)
||<nowiki>{{#expr: 30 / 7 round 3}}</nowiki> = {{#expr: 30 / 7 round 3}}<br /><nowiki>{{#expr: 30 / 7 round 0}}</nowiki> = {{#expr: 30 / 7 round 0}}<br /><nowiki>{{#expr: 3456 round -2}}</nowiki> = {{#expr: 3456 round -2}}
||<nowiki>{{#expr: 30 / 7 round 3}}</nowiki> = {{#expr: 30 / 7 round 3}}<br /><nowiki>{{#expr: 30 / 7 round 0}}</nowiki> = {{#expr: 30 / 7 round 0}}<br /><nowiki>{{#expr: 3456 round -2}}</nowiki> = {{#expr: 3456 round -2}}
|-
|-
111번째 줄: 111번째 줄:
||<nowiki>{{#expr: 30 &gt;= 7}}</nowiki> = {{#expr: 30 >= 7}}
||<nowiki>{{#expr: 30 &gt;= 7}}</nowiki> = {{#expr: 30 >= 7}}
|-
|-
! not(*)
! not
|| {{주석|부정문|'맞다' 혹은 '아니다'를 판단할 때 그 결과를 반대로 뒤집은 경우를 부정문이라 합니다}}
|| 부정문:'맞다' 혹은 '아니다'를 판단할 때 그 결과를 반대로 뒤집은 경우를 부정문이라 합니다(*)
||<nowiki>{{#expr: not 0 * 7}}</nowiki> = {{#expr: not 0 * 7}}<br /><nowiki>{{#expr: not 30+7}}</nowiki> = {{#expr: not 30+7}}
||<nowiki>{{#expr: not 0 * 7}}</nowiki> = {{#expr: not 0 * 7}}<br /><nowiki>{{#expr: not 30+7}}</nowiki> = {{#expr: not 30+7}}
|-
|-
! and(*)
! and
|| Logical AND : 앞 뒤의 두 식을 동시에 만족해야 맞는 표현인 상황입니다.
|| Logical AND : 앞 뒤의 두 식을 동시에 만족해야 맞는(1이 되는) 조건(*)
||<nowiki>{{#expr: 4&lt;5 and 4 mod 2}}</nowiki> = {{#expr: 4<5 and 4 mod 2}}
||<nowiki>{{#expr: 4&lt;5 and 4 mod 2}}</nowiki> = {{#expr: 4<5 and 4 mod 2}}
|-
|-
! or(*)
! or
|| Logical OR : 앞 뒤의 식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맞는 조건
|| Logical OR : 앞 뒤의 식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맞는(1이 되는) 조건(*)
||<nowiki>{{#expr: 4&lt;5 or 4 mod 2}}</nowiki> = {{#expr: 4<5 or 4 mod 2}}
||<nowiki>{{#expr: 4&lt;5 or 4 mod 2}}</nowiki> = {{#expr: 4<5 or 4 mod 2}}
|}
|}


입력할 때에 0이 false, 나머지의 값이 true로 처리됩니다. 계산 결과로는 false가 0, true가 1로 나옵니다.
입력할 때에 0이 false(아니다), {{주석|나머지의 값|1이 아니라 2 이상, 음수여도 해당됩니다.}}이 true(맞다)로 처리됩니다. 조건 계산 결과로는 false가 0, true가 1로 나옵니다.


=== #if ===
=== #if ===

2024년 12월 15일 (일) 11:41 기준 최신판

단축:
버:함


미디어위키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거나 미디어위키에서 제공되는 확장 기능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특수 함수'로 더 복잡하고 자세한 것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대개 '특수 함수'라 하면 초보 사용자들은 어려움을 느끼기 마련인데, 일단 배워서 익숙해지면 사용하기 쉬울 것입니다.

#expr[원본 편집]

#expr은 간단한 계산을 할 수 있는 기능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그런데 여기 있는 계산 기능 중에는 적어도 중학생 정도 되어야 이해 가능한 기능들이 있습니다. 그런 기능에는 (*) 표시와 간단한 설명을 담은 주석으로 달아두겠습니다. 고등학생 수준까지 올라가야 하는 경우 (**)로 표시하겠습니다.

{{#expr:계산식}}
연산자 기능 예제
숫자 나타내기
숫자를 쓰는 법 {{#expr:1234567890}} = 1234567890
{{#expr:0.1}} = 0.1
{{#expr:123456789012345}} = 1.2345678901234E+14컴퓨터의 데이터 표현의 한계로 인해 15자리 이상은 정수 계산이 깨집니다. 자신이 만든 게임에서 특정 값이 15자리를 넘지 않는지 주의해주세요.
( ) 괄호 {{#expr:(30+7)*7}} = 259
+ 양수 부호숫자 방향을 말합니다. 방향의 기준은 0보다 크냐 혹은 작으냐입니다.(*) {{#expr:+30*+7}} = 210
- 음수 부호(*) {{#expr:-30*-7}} = 210
숫자 계산
+ 덧셈 {{#expr: 30 + 7}} = 37
- 뺄셈 {{#expr: 30 - 7}} = 23
* 곱셈 {{#expr: 30 * 7}} = 210
^ 제곱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하는 계산입니다 {{#expr: 2 ^ 5}} = 32
/ 나눗셈 {{#expr: 30 / 7}} = 4.2857142857143
div 나눗셈(*). /과 같으며, 나눗셈을 한 결과를 소수점까지 전부 구합니다. 0보다 작은 음수에서도 작동합니다. {{#expr: 30 div 7}} = 4.2857142857143
{{#expr: 5 div 2 * 2 + 5 mod 2}} = 6
mod 나눗셈을 한 나머지를 구합니다. 0보다 작은 음수에서도 작동합니다.

주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작동 방식이 다릅니다.

{{#expr: 30 mod 7}} = 2
{{#expr: -8 mod -3}} = -2
{{#expr: -8 mod +3}} = -2
{{#expr: 8 mod 2.7}} = 0
{{#expr: 8 mod 3.2}} = 2
{{#expr: 8.9 mod 3}} = 2
round 반올림 계산을 하여 정수(소수점을 쓰지 않는 수)로 바꿔줍니다. (*) {{#expr: 30 / 7 round 3}} = 4.286
{{#expr: 30 / 7 round 0}} = 4
{{#expr: 3456 round -2}} = 3500
trunc(...) 버림 계산을 하여 정수로 바꿔줍니다. 나눗셈의 몫을 구할 때 이 함수로 나눗셈 계산을 감싸야 합니다. 감싸는 방법은 왼쪽 표현에서 ... 부분에 원하는 계산을 대신 넣으면 됩니다. (*) {{#expr: 30 / 7 round 3}} = 4.286
{{#expr: 30 / 7 round 0}} = 4
{{#expr: 3456 round -2}} = 3500
특별한 숫자(상수) {{#expr:e(**)}} = 2.718281828459이 값은 임의의 수를 알파벳 n이라고 썼을 때 (1 + 1 / n)을 n번 곱하는 계산을 한다면 n이 점점 커질수록 결과가 '다가가는 목표값'입니다.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각종 연산들에서 여러 번 튀어나오는 숫자라 대학교 갈 때는 매우 중요하지만, 리버티게임에서 디자인을 할 때에는 이 수를 쓸 일이 없을 겁니다.
{{#expr:pi(*)}} = 3.1415926535898원의 중심부터 가장자리까지의 길이가 1일 때 그 원의 둘레를 반으로 나눈 값을 π로 쓰고 pi(파이)라고 부릅니다. 중학교에 입학하여 도형 관련 이야기를 할 때 가장 먼저 나오는 수입니다.
조건 계산
= 등호 {{#expr: 30 = 7}} = 0
<> 부등호. 다를 경우에 true=1, 같을 경우에 false=0이 나옵니다. {{#expr: 30 <> 7}} = 1
!= 부등호. <>와 같습니다. {{#expr: 1 != 0}} = 1
< 작다 {{#expr: 30 < 7}} = 0
> 크다 {{#expr: 30 > 7}} = 1
<= 작거나 같다 {{#expr: 30 <= 7}} = 0
>= 크거나 같다 {{#expr: 30 >= 7}} = 1
not 부정문:'맞다' 혹은 '아니다'를 판단할 때 그 결과를 반대로 뒤집은 경우를 부정문이라 합니다(*) {{#expr: not 0 * 7}} = 7
{{#expr: not 30+7}} = 7
and Logical AND : 앞 뒤의 두 식을 동시에 만족해야 맞는(1이 되는) 조건(*) {{#expr: 4<5 and 4 mod 2}} = 0
or Logical OR : 앞 뒤의 식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맞는(1이 되는) 조건(*) {{#expr: 4<5 or 4 mod 2}} = 1

입력할 때에 0이 false(아니다), 나머지의 값1이 아니라 2 이상, 음수여도 해당됩니다.이 true(맞다)로 처리됩니다. 조건 계산 결과로는 false가 0, true가 1로 나옵니다.

#if[원본 편집]

#if는 조건 표현을 사용해 상황에 따라 어떤 일을 시키거나 아니면 시키지 않는 조건문의 하나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if: 문자열 | 문자열이 비어있지 않으면 나올 문장 | 문자열이 비어있을 때 나올 문장}}

이때 거짓일때 나올 문장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조건문이 있을 때:

{{#if: {{{parameter|}}} | parameter는 {{{parameter}}}입니다. | parameter가 없습니다.}}

{{틀|parameter=aaa}}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ameter는 aaa입니다.

{{틀}}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ameter가 없습니다.

{{틀|parameter=}}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ameter가 없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이것은 기존의 {{{parameter|}}} 동작과 다릅니다. 다음의 두 작동을 비교해 보세요.

{{{parameter|없음}}} {{#if: {{{parameter|}}} | {{{parameter}}} | 없음}}
{{틀|parameter=a}} a a
{{틀}} 없음 없음
{{틀|parameter=}} 없음

또한, 조건이 참/거짓일 때 나오는 문장에는 자동으로 앞뒤로 빈 문자열이 삭제됩니다.

#ifeq[원본 편집]

{{#ifeq: 문자열 1 | 문자열 2 | 같을 경우 | 다를 경우}}
  • {{#ifeq: aa | aa | same | different}} -> same

문자열 부분에 숫자가 들어오면 숫자 값으로 검사합니다.

  • {{ #ifeq: +07 | 007 | 1 | 0 }} -> 1
  • {{ #ifeq: "+07" | "007" | 1 | 0 }} -> 0

매개변수가 정의되었는지를 #if로는 검사할 수 없습니다. 이를 검사하려면 #ifeq문을 사용해야 합니다.

  • {{ #if: {{{x| }}}|not blank|blank}} = blank
  • {{ #ifeq: {{{x| }}}| |blank|not blank}} = blank
  • {{ #ifeq: {{{x| }}}|{{{x|u}}}|defined|undefined}} = undefined

#ifexist[원본 편집]

{{#ifexist: 문서 이름 | 문서가 있을 경우 | 문서가 없을 경우}}

만약 문서 이름에 인터위키백괴사전 문서나 다른 언어의 백괴사전 문서로의 링크를 넣으면 결과는 항상 문서가 없는 경우로 나옵니다.

#ifexpr[원본 편집]

{{#ifexpr: 계산식 | true일 경우 | false일 경우}}

계산식이 빈 문자열일 때도 'false일 경우' 부분이 나옵니다.

  • {{#ifexpr: {{ns:0}}|Toast|'''or else'''}} = or else

true, false 두 문장을 쓰지 않으면 아무 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단, 오류가 있을 경우에는 오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이를 이용해서 수식에 오류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ifexpr: 1/0}} -> 0으로 나눴습니다.
  • {{#if: {{#ifexpr: 1/0}} | 오류 있음 | 오류 없음}} -> 오류 있음
  • {{#if: {{#ifexpr: 0}} | 오류 있음 | 오류 없음}} -> 오류 없음

#iferror[원본 편집]

{{#iferror: 주어진 단락 | 에러 포함일 경우 | 미포함일 경우}}

주어진 단락의 오류 포함 여부를 검사하는 함수입니다.

  • {{#iferror: {{#expr: 1 < 0}} | 오류 | 정상 }} -> 정상
  • {{#iferror: {{#expr: X}} | 오류 | 정상 }} -> 오류

에러는 HTML 클래스 error를 통해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 {{#iferror: b <span class="error"></span> b| 오류 | 정상 }} -> 오류
  • {{#iferror: <div style="display: none;"><span class="error">b</span></div>| 오류 | 정상 }} -> 오류

#switch[원본 편집]

여러 조건을 동시에 비교합니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switch문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switch: <result비교할 값>
| <value1> = <result1>
| <value2> = <result2>
| ...
| <valuen> = <resultn>
| <default result>
}}

마지막 default값은 모든 비교가 실패했을 때의 값으로, 항상 있어야 합니다.없으면 비교가 실패했을 때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만약 default 값에 등호가 들어간다면, #default = <값>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몇 가지 조건을 묶어야 한다면 등호를 쓰지 않고 연속적으로 나열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 #switch: <result비교할 값>
| <value1>
| <value2>
| <value3> = <result작다>
| <value4>
| <value5>
| <value6> = <result크다>
| <default result> = <result모른다>
}}

이렇게 쓸 경우 비교할 값이 1,2,3이면 작다가 나타나고, 4,5,6인 경우 '크다'가 나타나고, 그 외에는 '모른다'가 나타납니다.

#time, #timel[원본 편집]

{{ #time:  형식 }}
{{ #time:  형식 | 시간 }}
{{ #timel:  형식 }}
{{ #timel:  형식 | 시간 }}

#time은 UTC 시간대의 시간을, #timel은 사용자가 접속한 시간대(UTC+9)의 시간을 표시합니다.

코드 설명 예시 현재 (time) 현재 (timel)
Y 네 자리 연도 예: 2006 2024 2024
y 두 자리 연도 00~99,
예: 06=2006.
24 24
L 윤년일 경우 1이면 윤년, 0이면 평년 1 1
n 현재 달(앞에 0이 붙지 않음) 1~12 12 12
m 현재 달(앞에 0이 붙음) 01~12 12 12
M 줄인 달 이름 1~12 12 12
F 달 이름 1월~12월 12월 12월
t 각 달에 있는 날짜 수 28~31 31 31
j 현재 날(앞에 0이 붙지 않음) 1~31 18 18
d 현재 날(앞에 0이 붙음) 01~31 18 18
z 그 해부터 지난 날수(0부터 시작함) 0~364, 윤년일 경우 365까지 352 352
D 줄인 요일 이름 월~일
l 요일 이름 월요일~일요일 수요일 수요일
w 요일 숫자(미국식) 0(일요일)~6(토요일) 3 3
N 요일 숫자(ISO 8601 방식). 1(월요일)~7(일요일) 3 3
W ISO 8601 주 숫자(ISO 연도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완전히 있어야 한 주로 치고, 첫 번째 주는 늘 1월 4일이나 역년 목요일을 포함한다.). 1~52 또는 53 (년도에 따라 다름) 51 51
a am(같은 날 01:00:00부터 12:59:59까지)이나 pm을 소문자로 나타낸다(시간 단위를 12시간제로 표시할 때 쓴다.). am이나 pm pm pm
A a와 같지만, 대문자로 나타낸다. AM이나 PM PM PM
g 시간을 12시간 단위로 표기하되, 앞에 0을 붙이지 않음(1, 2자리이고 am/pm 또는 AM/PM과 같이 쓴다.). 1~12 2 11
h 시간을 12시간 단위로 표기하되, 앞에 0을 붙임(2자리이고 am/pm 또는 AM/PM과 같이 쓴다.). 01~12 02 11
G 시간을 24시간 단위로 표기하되, 앞에 0을 붙이지 않음(1자리 또는 2자리). 0~23 14 23
H 시간을 24시간 단위로 표기하되, 앞에 0을 붙임(2자리). 00~23 14 23
i 분(2자리). 00~59 46 46
s 초(2자리). 00~59 59 59
U 1970년 1월 1일 00:00:00 UTC부터 흐른 초 수. 0~2147483647 1734533219 1734533219
c ISO 8601 형식을 따른 날짜로, {{#time:Y-m-dTH:m:s{{#time:+H:m|+0 hours}}}}와 같다. fixed length string 2024-12-18T14:46:59+00:00 2024-12-18T23:46:59+09:00
r RFC 2822 형식을 따른 날짜로, {{#time:D, j M Y H:m:s {{#time:+H:m|+0 hours}}}}와 같다. variable length string Wed, 18 Dec 2024 14:46:59 +0000 Wed, 18 Dec 2024 23:46:59 +0900

예제[원본 편집]

  • {{ #time: Y년 M월 j일 l | 20070304 }} → "2007년 3월 4일 일요일"
  • {{ #time: Y년 M월 j일 l | 2007-3-4 }} → "2007년 3월 4일 일요일"
  • {{ #time: Y년 M월 j일 l | 4 March 2007 }} → "2007년 3월 4일 일요일"
  • {{ #time: Y년 M월 j일 l | -32 days }} → "2024년 11월 16일 토요일" (32일 전)
  • {{ #time: H:i | +9 hours }} → "23:46" (UTC보다 9시간 빠름)
  • {{ #time: H:i | 8:15 +9 hours }} → "17:15"
  • {{ #time: Y/m | -17 months }} → "2023/07" (17개월 전)
  • {{ #time: [[Y년]] [[M월 j일]] l | 4 March 2007 }} → "2007년 3월 4일 일요일"

범위[원본 편집]

1970년 1월 1일 00:00:01 (UTC) 이후, 2038년 1월 19일 03:14:07 이전의 날짜만 표시할 수 있습니다. (2038년 문제 참고)

인수로서 1901년과 1970년 사이의 날짜가 주어지면 잘못된 날짜를 출력하며, 그 이전의 날짜가 주어지면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2월 29일[원본 편집]

  • {{ #time: j|February 29 2006 }} → 1
  • {{ #time: j|February 29 2008 }} → 29

#rel2abs[원본 편집]

상대 주소를 절대 주소로 바꿔줍니다.

  • “리버티게임:가나/다라”에서 {{ #rel2abs: ../마바 }}를 호출한 경우, 결과는 리버티게임:가나/마바가 됩니다.
  • “리버티게임:가나”에서 {{ #rel2abs: ../마바 }}를 호출한 경우, 결과는 마바가 됩니다.
  • “리버티게임:가나”에서 {{ #rel2abs: ../../마바 }}를 호출한 경우, 아래와 같은 오류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 오류: 경로 구조가 잘못되었습니다: "리버티게임:가나/../../마바" (루트 노드 위의 노드에 접속을 시도했습니다)
  • {{ #rel2abs: ../마바 | 리버티게임:가나/다라 }}를 호출한 경우, 결과는 리버티게임:가나/마바가 됩니다.
  • {{ #rel2abs: 리버티게임:가나/다라/../마바 }}를 호출한 경우, 결과는 리버티게임:가나/마바가 됩니다.

#language[원본 편집]

해당 언어 코드에 맞는 언어명을 출력합니다.

  • {{ #language: ko }} → 한국어
  • {{ #language: vi }} → Tiếng Việt
  • {{ #language: zh-min-nan }} → Bân-lâm-gú

#var , #vardefine[원본 편집]

  • Crystal multimedia.png 현재 Parsoid 렌더링 방식 변경 이슈로 #var, #vardefine의 사용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확장 기능 변동에 상관 없이 페이지 내에 특정한 변수를 지정하고 필요에 따라 값을 바꿔 사용하시려면 모듈:IIFE도 보시기 바랍니다.

#var 과 #vardefine은 변수를 지정하고 사용할 수 있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vardefine: 변수이름 | 변수값 }}
{{#var: 변수이름 }}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vardefine:sky|blue}}
Sky is {{#var:sky}}

아래는 결과값입니다.

Sky is blue

#sub[원본 편집]

#sub는 문자열을 한글과 영어,일본어 상관없이 자를수 있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sub: 자를문자열 | 숫자1 | 숫자2 }}

0부터 시작해 자를 문자열의 숫자1번째 글자부터 시작해서 숫자2개 글자만큼의 문자열을 뽑아와줍니다. 아래는 예제입니다.

{{#sub:sky dum dummy dummss|0|3}} is blue

아래는 결과값입니다.

sky is blue

#len[원본 편집]

#len는 문자열의 개수를 세주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len: 문자열 }}

아래는 예제입니다.

"Nu is babo"의 길이는 {{#len:Nu is babo}}입니다.

아래는 결과값입니다.

"Nu is babo"의 길이는 10입니다.

#pos[원본 편집]

#pos는 문자열에 어떤 문자를 찾아서 맨처음으로 찾아진 문자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pos: 문자열 | 찾을 문자 }}

아래는 예제입니다.

"Nu와 GNU가 싸우면 GNU가 이긴다. 왜냐하면 GNU가 이름이 제일 길기 때문이다."에 "GNU"의 위치는 {{#pos:Nu와 GNU가 싸우면 GNU가 이긴다.|GNU}}입니다.

아래는 결과값입니다.

"Nu와 GNU가 싸우면 GNU가 이긴다. 왜냐하면 GNU가 이름이 제일 길기 때문이다."에 "GNU"의 위치는 4입니다.

#rpos[원본 편집]

#rpos는 문자열에 어떤 문자를 찾아서 마지막으로 찾아진 문자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rpos: 문자열 | 찾을 문자 }}

아래는 예제입니다.

"Nu와 GNU가 싸우면 GNU가 이긴다. 왜냐하면 GNU가 이름이 제일 길기 때문이다."에 "GNU"의 위치는 {{#rpos:Nu와 GNU가 싸우면 GNU가 이긴다. 왜냐하면 GNU가 이름이 제일 길기 때문이다.|GNU}}입니다.

아래는 결과값입니다.

"Nu와 GNU가 싸우면 GNU가 이긴다. 왜냐하면 GNU가 이름이 제일 길기 때문이다."에 "GNU"의 위치는 28입니다.

#replace[원본 편집]

#replace는 문자열에서 특정 단어를 찾아서 다른 단어로 치환해주는 함수로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replace:문자열|특정 단어|다른단어}}

아래는 예제입니다.

"Nu는 바보다" 에서 Nu를 GNU로 바꾸면 "{{#replace:Nu는 바보다|Nu|GNU}}"입니다.

아래는 결과값입니다.

"Nu는 바보다" 에서 Nu를 GNU로 바꾸면 "GNU는 바보다"입니다.

#titleparts[원본 편집]

  1. titleparts는 페이지 제목을 조금 더 정교하게 자르기 위한 것입니다. Magic Words 중 하나인 {{PAGENAME}}류와 함께 쓰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titleparts: 페이지명 | 반환할 구역 수 | 반환할 첫번째 구역 }}

구역이라는 것은 상위/하위 문서 하나 단위를 의미합니다. 예제를 보겠습니다.

{{#titleparts: 리버티게임:낚시학개론/둘째낚시/셋째낚시/넷째낚시방/마지막이다|2}}

이와 같이 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두번째 변수가 없으면 처음부터 앞에 쓴 숫자만큼 잘라버립니다.

리버티게임:낚시학개론/둘째낚시

다른 예제를 보겠습니다.

{{#titleparts: 리버티게임:낚시학개론/둘째낚시/셋째낚시/넷째낚시방/마지막이다|3|2}}

이는 3개만큼 자르되 2번째 칸부터 시작한다는 뜻입니다. 첫번째 변수(빨간 글씨)를 생략할 시는 기본값이 1로 지정됩니다. 따라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둘째낚시/셋째낚시/넷째낚시방

#titleparts는 음수도 가능합니다.

{{#titleparts: 리버티게임:낚시학개론/둘째낚시/셋째낚시/넷째낚시방/마지막이다|-1}}

음수의 경우 뒤쪽부터 셉니다. 따라서 이렇게 입력하였을 때의 결과는 리버티게임:낚시학개론/둘째낚시/셋째낚시/넷째낚시방이 됩니다. 같은 원리로, 첫째 변수가 아닌 둘째 변수가 -1일 시에는 마지막이다가 나옵니다.

참고[원본 편집]

  • {{rand}}: #rand 파서 지원 중단에 따른 대체 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