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티게임:오락실: 두 판 사이의 차이

리버티게임, 모두가 만들어가는 자유로운 게임
백괴게임>Riemann
잔글편집 요약 없음
(월별 하위 문서에 각주가 존재할 경우를 대비해 분리하는 선 추가)
 
(사용자 11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protect>
{{리버티게임 메뉴}}{{오락실 보존}}
{{백괴게임 메뉴}}{{오락실 보존}}
'''오락실'''은 백괴게임 사용자들 사이에 서로 의견을 주고받는 곳입니다. 특정 사용자들 사이의 사소한 의견은 사용자 토론 문서를 이용하세요. 특정 게임에 대한 의견은 각 게임의 토론 문서나 포럼을 이용하세요.


<big>{{{편집불가|본 문서를 직접 수정하지 말아 주세요. 글을 추가하려면 오른쪽 중간에 있는 '새 글 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big>


{{아랫방}}
'''오락실'''은 리버티게임 사용자들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거나, 관리자에게 특정 편집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하실 수 있는 곳입니다.
<!--
=== 안내 =========================================


오락실 문서를 직접 수정하지 말아 주세요. 글을 추가하려면 '새 글 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특정 사용자들 사이의 사소한 의견은 사용자 토론 문서를 이용하세요. 특정 주제에 대해 장기적으로 토론이 필요한 경우 [[리버티게임:토론란]]을 이용해 주세요.


Do not edit this article directly! Click on "새 글 쓰기" instead.
'''글을 추가하려면 오른쪽에 있는 '새 글 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


__TOC__
__TOC__
</protect>
{{#ifexist:리버티게임:오락실/{{#time:Y년 M월|-27 days}}|{{#ifexpr:{{#time:d|+9 hours}}<16|{{리버티게임:오락실/{{#time:Y년 M월|-27 days}}}}}}}}
{{#ifexpr:{{#time:d|+9 hours}}<16|
{{#ifexist:리버티게임:오락실/{{#time:Y년 M월|+9 hours}}|{{리버티게임:오락실/{{#time:Y년 M월|+9 hours}}}}}}
{{백괴게임:오락실/{{#time:Y년 M월|-27 days}} 하반기}}
[[분류:리버티게임 사용자 모임]]
}}
----
{{백괴게임:오락실/{{#time:Y년 M월|+9 hours}} 상반기}}
{{#ifexpr:{{#time:d|+9 hours}}>=16|
{{백괴게임:오락실/{{#time:Y년 M월|+9 hours}} 하반기}}
}}
[[분류:포럼|{{PAGENAME}}]]

2024년 3월 3일 (일) 19:31 기준 최신판

Korean.culture-PC.bang-01.jpg
리버티게임 오락실
 2024년 6월
새 글 쓰기
새로 고침

전체 보존문서 목록

본 문서를 직접 수정하지 말아 주세요. 글을 추가하려면 오른쪽 중간에 있는 '새 글 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오락실은 리버티게임 사용자들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거나, 관리자에게 특정 편집을 요청하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하실 수 있는 곳입니다.

특정 사용자들 사이의 사소한 의견은 사용자 토론 문서를 이용하세요. 특정 주제에 대해 장기적으로 토론이 필요한 경우 리버티게임:토론란을 이용해 주세요.

글을 추가하려면 오른쪽에 있는 '새 글 쓰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이제 libertygame.work가 libertyga.me입니다.

2024년 4월 26일부터 운영되는 오라클 클라우드 서버(libertygame.work)는 이제 libertyga.me이 되며, libertygame.work는 별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좋은 URL을 제공해주신 BANIP님께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씀 드리며, 이제 4월 25일 이전처럼 libertyga.me으로 접속하셔도 되고, libertygame.work로 계속 접속하셔도 됩니다. 개발 서버는 dev.libertygame.work 하나로 계속 유지됩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3일 (금) 22:17 (KST)

고도 4.3에서 웹 내보내기가 단일 스레드를 지원하도록 한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 링크를 살펴봐주세요. 이 변경으로 애플 기기에서 웹 버전의 문제가 사라진다고 말했습니다. --명진 (토론) 2024년 5월 16일 (목) 12:20 (KST)

아, 또 SharedArrayBuffer 문제였군요. 인텔의 멜트다운 보안 취약점 때문에 저 JS 객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까다로워지면서 생긴 문제가 한둘이 아니었는데, 고도 엔진도 그 영향을 제대로 받았었네요. 고도 4는 원래 계획은 내년 중에 리버티게임에서 래퍼 틀을 지원할 예정이었는데, 여유가 되면 4.3이 안정화된 시점(4.4 출시 직전)에 '틀:고도4'를 추가하도록 시점을 올 연말 쯤으로 당길 수도 있겠습니다(해당 기사를 보니 엔진에서 효과음 재생을 담당할 SamplePlayer 클래스에 큰 문제가 없어야 도입할 만 하겠네요).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16일 (목) 19:25 (KST)

CC BY-SA 파일을 제거하는 일이 꽤 고되군요.

지난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틀 퇴출 작업의 연장선에 있는 문제로, 백괴사전과 백괴게임 초기 시기에 만들어진 문서 중 일부는 인용한 그림 파일의 라이선스에 문제가 있었으며, 이것 때문에 일부 게임 내용도 급히 바꾸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숫자 42를 써야 할 때 대체품으로 들어가던 파일:Answer to Life.png가 문제네요. 이 그림이 워낙 많은 곳에서 쓰였는데, 저작권 정보를 자세히 조사해보니 리버티게임의 게임 기본 라이선스랑 호환이 안 됩니다. 게임을 GFDL이나 CC BY-SA로 바꾸기엔 특집 게임들보다 그 수가 훨씬 많아서(2012년 이전에 만들어졌던 백괴게임 내 웹 게임은 거의 다 걸립니다), 다음 두 가지 방법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1. 대량 편집으로 이 파일 같이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파일로 바꾼다.
  2. 그림을 직접 만들어 동일한 이름의 파일로 업로드한다.

첫 번째 방법은 위키미디어 공용에서 딱 맞는 그림을 찾기 어려우며, 보존 이름공간에 들어간 백괴시티 같은 게임마저 걸리는 문제이기 때문에, 비슷한 해상도[1]에 '빛나는 숫자 42'라는 컨셉으로 새로 디자인하는 두 번째 방법이 권장됩니다.

여담으로, 이걸 보니 백괴사전과 백괴게임은 2012년 이전에는 파일 라이선스 문제에 대해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게 여겼던 것 같습니다. 지금 백괴사전과 이곳 양쪽을 오가면서 틈틈이 해결하고 있는데, 사이트에 직접 올린 수백 개의 파일 이외에 공용 파일의 저작권 정보를 잘못 보고 끌어온 사례가 넘치기에, 하루에 하나씩 찾아서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도 여전히 몇 년은 걸릴 것 같네요. 만약 그림 파일 관련 문제를 발견한 분은 (리버티게임:저작권 문서에 나온 것처럼) 정비가 필요한 부분이므로 발견 시 제보를 주시기 바랍니다.

덤으로, 이런 문제를 사이트 내에서 직접 해결하기 위해 오픈 소스 그림판 애플리케이션이 있다면 WASM으로 컴파일해서 리버티게임 사이트에 직접 그림 에디터를 집어넣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봤던 후보는 Emscripten 컴파일이 가능한 SDL 기반의 이 프로젝트인데, UI가 상당히 구식인데다 한글화가 필요해서 더 나은 애플리케이션을 웹 앱으로 변환할 수 있다면 그쪽으로 이동하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18일 (토) 13:12 (KST)

문서 내용과 파일은 별개로 취급되어서 문서 라이선스로 CC BY-SA를 쓰는 위키백과도 Definition of Free Cultural Works를 만족한다면 그 외의 라이선스를 허용하여 보다 유연한 정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꼭 필요한 경우 공정 이용도 허용하고 있으며, 위키백과 외의 대부분 위키들도 모든 파일이 꼭 문서 라이선스와 일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hsl(토론, 기여, 게임, 메일) 2024년 5월 19일 (일) 13:33 (KST)
제가 예시로 든 파일의 경우는 비자유 저작물에 해당하면서 위키백과와 다른 CCL 조건을 사용함에도 약간 밈 형태로 유행했었기에 백괴게임/리버티게임이 백과사전 형태의 위키가 아님에도 좀 과하게 사용되었다고 봅니다. 심지어 저도 백괴게임에 가입한 후 처음 이 파일을 사용할 때 BY-SA와 BY-NC-SA가 호환되지 않는 것을 몰랐기에 한 번 정도 인용을 했었고요. 그래서 따로 이용 허가 기록이 없으면 위키백과에서 제시한 공정 이용 사례에 맞다고 보기 어려울 수도 있어서 지금 빠른 대체가 필요하다 싶어 적었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0일 (월) 12:36 (KST)

Crystal multimedia.png 42 Logo alter.png <- 임시로 '42 Logo alter.png'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었는데, 필요하면 개선하겠습니다. 이걸 기존 그림 제목으로 이동하면 위키백과 버전 대신 이걸 바로 사용하게 하는데, 과감하게 Answer to Life.png로 이동 처리해도 괜찮을까요?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7일 (월) 12:21 (KST)

일단 {{42}}는 바꾸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7일 (월) 20:57 (KST)
Symbol information vote.svg정보 틀을 바꾼 결과 원래 문제가 되던 그림의 인용 횟수가 200회 이상에서 9회로 크게 떨어져서, 남용이라고 볼 만한 판정 범위에서는 벗어난 것 같습니다. 나머지는 개별 게임의 토론 문서를 통해 확인 후 알아서 수정하는 방법으로 놓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8일 (화) 12:09 (KST)

게임 정보 틀 삽입을 의무화합시다.

일반 문서에 새로운 문서가 만들어질 때, 새 게임을 만드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간혹 하위 문서를 실수로 최상위 문서로 만드는 경우나 깨진 링크를 의도치 않게 생성하는 경우가 있고 새 게임이 맞지만 게임 정보를 삽입하지 않아 게임 목록에 등재하지 못하거나 버려져도 추적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바뀜을 보았을 때 이러한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따라서 백괴게임 시절에 [[분류:백괴게임]]을 의무로 삽입했듯이 이제는 {{게임 정보}} 틀 삽입을 의무화해야 합니다.

게임 정보 틀 삽입이 의무화되면 최상위 문서를 만들고 있다는 것을 인지시키고 직접 게임 정보 틀을 넣게 함으로써 직접 확인까지 시켜 실수로 문서를 만들 가능성을 대폭 낮출 수 있고 게임 정보 틀을 넣었을 때 게임 메타데이터도 자연스럽게 만들도록 유도하여 게임 제작자와 공사 현황을 추적할 수 있게 됩니다.

틀 삽입을 강제하는 편집 필터 초안도 만들어뒀으니 한번 확인해보세요. --hsl(토론, 기여, 게임, 메일) 2024년 5월 19일 (일) 14:43 (KST)

Symbol support vote.svg찬성 초보 제작자가 충분히 할 수 있는 실수이죠. 저는 찬성합니다. 해당 편집 필터는 도움말에도 언급이 필요할 것 같으니 활성화하면 도움말에도 기록하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0일 (월) 12:12 (KST)
Symbol support vote.svg찬성 한 번의 실수로 명작이 버려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Chabiytb0792 (토론/기여/기타) 2024년 5월 20일 (월) 18:07 (KST)
Symbol support vote.svg환영 저는 게임 알리기로 게임을 홍보하도록 유도한 바가 있습니다. --명진 (토론) 2024년 5월 22일 (수) 14:43 (KST)

Symbol question.svg질문 이거 과감히 지금 활성화해도 될 것 같은데요? 조치를 할까요?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2일 (수) 10:17 (KST)

그럼 활성화해보겠습니다. --hsl(토론, 기여, 게임, 메일) 2024년 5월 22일 (수) 12:05 (KST)
Symbol opinion vote.svg의견 문제가 있습니다. 게임 정보 틀 삽입 의무화로 인해 넘겨주기가 불가능합니다. 의무화는 좋은데 넘겨주기를 사용하지 못하면 넘겨주기를 사용자 문서의 하위 문서로 만들어야 됩니다. 그런데 넘겨주기를 사용자 하위 문서로 만들면 넘겨주기의 용도, 게임 제목을 단축하여 원하는 게임을 찾는 것이 불가능해집니다. 문제 해결 요청합니다.--Jamyo356 (토론) 2024년 5월 27일 (월) 15:59 (KST)
아, 이런 문제가 있네요. 지금 기존에 있었던 게임들은 넘겨주기가 존재하는 경우(예: 백괴시티 대문 문서 넘겨주기, 백민 -> 백괴민국 등)가 있는데 형평성 문제가 있겠네요. 사이트 활동 극초기의 튜토리얼 개념으로는 반드시 도입되야 하는 필터라 임시로 자동 인증된 사용자부터 이 필터가 필요 없게 해야겠습니다. 필터는 제가 수정해보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7일 (월) 20:21 (KST)
조건문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자동 인증된 사용자라도 넘겨주기가 아니면 작동하도록 변경할게요.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7일 (월) 20:31 (KST)

Crystal multimedia.png 긴급 패치를 했습니다. 넘겨주기 문서를 작성할 경우 자동 인증된 사용자 한정으로 예외적으로 생성 가능합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7일 (월) 20:44 (KST)

필터가 많이 복잡해졌군요. 자동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만 넘겨주기 문서를 만들 수 있다는 제한을 총의를 거쳐 명문화하거나 그냥 누구나 넘겨주기 문서를 만들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hsl(토론, 기여, 게임, 메일) 2024년 5월 27일 (월) 22:32 (KST)
알겠습니다. 저는 자동 인증된 사용자/프로유저 지정된 유저만 넘겨주기 문서를 만드는 방향에 Symbol support vote.svg찬성하는데, 익명/일반 사용자에게 넘겨주기 문서 생성 권한을 개방하면 넘겨주기 문서를 도배하여 '임의의 게임으로' 같은 기능의 동작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공격이 들어올 가능성이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자동 인증된 사용자 권한을 획득한 시점에는 적어도 1개의 게임 컨텐츠 관련 기여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크기에 넘겨주기 생성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타날 것으로 기대합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8일 (화) 11:59 (KST)
리버티게임:임의 게임분류:리버티게임에 포함된 문서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넘겨주기 문서들은 제외됩니다. --hsl(토론, 기여, 게임, 메일) 2024년 5월 28일 (화) 14:09 (KST)
음, 이 문제가 생각보다 복잡한 문제였군요. 일단 조건을 롤백하고 너무 길어진다 싶으니 사이트 상단에 공지되는 토론란 문서를 하나 파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9일 (수) 17:20 (KST)
넘겨주기를 막는 것은 부작용이 맞으므로 인증된 사용자 상관없이 넘겨주기를 허용하도록 규칙을 수정했습니다. 넘겨주기 제한은 이 필터와는 별개로 논의되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hsl(토론, 기여, 게임, 메일) 2024년 5월 29일 (수) 17:54 (KST)
네, 그럼 그런 방향의 토의는 여기로 분리하는 것으로 확정하겠습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9일 (수) 18:12 (KST)
Symbol information vote.svg정보 그리고 한 가지 골 때리는 점을 방금 발견했는데, 백괴로또 6/45 같은 경우는 이 필터가 무조건 문서를 생성 가능하게 합니다.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만, /가 게임 이름에 들어가는 경우는 필터로 막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겠습니다(아마 저 게임은 내부적으로는 백괴로또 6이 최상위 문서인데 그 아래에 있는 45라는 하위 문서에 게임 정보 틀이 달렸다고 인식하고 있을 겁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9일 (수) 18:50 (KST)
최상위 문서가 없는 하위 문서를 만들 때 이 필터를 적용시키면 될 것 같으나, 다른 문서의 존재 여부를 편집 필터로 확인할 수 없어 구현할 수 없습니다. 이건 어쩔 수 없죠. --hsl(토론, 기여, 게임, 메일) 2024년 5월 30일 (목) 16:55 (KST)

분류:누구나 편집할 수 있는 리버티게임 내의 대문 보호 수준을 자동 인증된 사용자 이하로 낮추었습니다.

자동 인증된 사용자의 편집 관련 제보가 들어와 게임들의 대문을 다시 살피던 중 상기 분류에 있는 게임은 타이틀 문서(게임 별 대문 문서)가 되는 최상위 문서 역시 제작자 외 사용자가 변경 가능하게 만들 필요가 있음에도 저자만 편집 가능한 보호가 걸린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해당 분류가 붙은 문서들은 기본적으로 보호 수준을 자동 인증된 사용자로 변경했고, 리버티게임:편집 초심자용 추천 게임에 등재된 게임들은 과감하게 다시 모든 사용자에게 타이틀 문서 편집을 개방했습니다. 편집 개방된 게임 수가 확실히 편집 금지 혹은 부분 편집 가능 게임들보다 적었기에 수동으로 변경하기 쉬웠으며 관리할 여력이 조금 남았기 때문에 이렇게 조치했습니다. 문서 이동으로 통째로 이름을 바꿔 찾지 못하게 하는 반달만 막기 위해 이동 작업에는 기존처럼 시스템 차원에서 막은 상태를 유지합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2일 (수) 10:17 (KST)

관리단 출석체크 시스템 도입에 관한 최종 의견

지금 개발 서버에서 관리자가 최근바뀜으로 사이트 내 회원 활동 목록을 확인한 시점을 기록하는 소도구 스크립트를 만들었는데, 이게 혹시 개인정보 수집 범위에 들어갈까 싶어서 본 서버 도입 전에 한 번 관리자들에게 이 스크립트의 도입 여부에 관해 물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 수집 내용: 특수:최근바뀜 열람 시각
  • 수집 목적: 관리자(Sysop)가 최근 사이트를 방문하여 사이트 내 모든 회원 활동 기록을 확인했는지 점검
  • 수집 및 보관 기간: 관리자(Sysop) 권한 회수 시점까지
  • 수집 동의 철회 방법: 리버티게임:관리단/출석체크에서 직접 본인 닉네임을 키로 삼는 항목을 삭제하여 철회 동의 가능

혹시 이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최근바뀜 열람 시점을 사이트 내에 기록하는 데에 동의하시면 아래에 글 남겨주시거나 스크립트를 가져오기 전에 리버티게임:관리단/출석체크에서 쉼표(,)로 구분한 "(본인의 닉네임)":0 형태로 항목을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스크립트는 5월 30일에 가져올 예정입니다. --Senouis(토론장, 기여) 2024년 5월 22일 (수) 13:42 (KST)


  1. 원본은 322 x 196이며, 필요하면 320 x 180으로 변경합니다.